티몬 기업분석
사실 티몬은 아직 상장을 하지 않은 기업인데요.
하지만 좀있으면 IPO(기업공개)를 앞두고 있고
상장을 목표로 성장하는 회사기 때문에 언젠간 필요한 정보가 될것이라 생각해요
그리고 티몬 수시 채용이 진행 중인데 자소서 작성할 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티몬의 재무제표
티몬의 사업 구조(소셜커머스 수익구조)
모든 소셜 커머스와 마찬가지로 티몬역시 중계 수수료를 먹고 사는 기업입니다.
판매 업자를 발굴해서 티몬에 유치하면 통상 10~20%의 판매 수수료를 받는 것으로 티몬은 이익을 챙깁니다.
판매업자 측에서는 티몬의 대형 플렛폼을 통해서 홍보효과와 판매 증진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한국 최초 소셜 커머스 기업 티몬의 차별성
소셜 커머스란?
기본적으로 1세대 인터넷 쇼핑 문화의 하나입니다. SNS를 활용해서 이루어지는 전자 상거래의 일종인데요
핵심은 일정 수 이상의 구매자가 모이면 공급자가 가격을 파격적으로 내려주는 것을 말해요! 쉽게 말해 박리다매 방식인 것이죠
유일한 흑자 기록한 소셜커머스 기업 티몬
원동력은 타임커머스 "티몬 블랙딜"
대세는 비디오, "티몬 셀렉트"의 개발
티몬셀렉트는 개인 방송과 커머스를 연합한 것인데요
쉽게말해서 티몬의 판매자가 티몬의 도움을 받아 개인 홈쇼핑 방송을 진행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를 통해 티몬은 또다른 도약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성장을 이어가고자 "신규 파트너사의 판매 수수료 면제" 혜택
그래서 수수료를 면제하는 것이 상당히 큰 손실이지만
마케팅 인력을 통한 판매업자 이익 극대화
사실 소상공인이 마케팅 컨텐츠를 만드는 것은 쉽지않습니다.
그래서 티몬에서는 일단 유치을 하면 자신들의 마케팅 인력으로 마케팅 과정을 일정부분 책임지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사업 체질 개선
최근 소셜 커머스의 최대 이슈는 새벽배송입니다.
물류 서비스를 직접 운용해서 무료 배송 혜택을 확대하고 빠른 배송으로 승부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으로 쿠팡이나 쓱배송이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티몬은 이러한 프레시 사업을 정리하고, 자신들의 본업인 커머스에 집중함으로서 수익 구조를 단순화해서 이익을 올렸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이 티몬이 흑자를 기록하할 수 있도록 한 원동력이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인수합병
티몬은 세계 2위 소셜 커머스 기업인 '리빙 소셜'과도 인수합병해서 세계화 역량 역시 갖추고 있습니다.
아직가지는 큰 성과는 없지만 능력이 있다는 것은 흥미로운 점인 것 같습니다.
티몬의 약점
역시나 가장 큰 건 시장의 불안정성
기업문화
티몬패이의 부진
여기까지 티몬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일단 저는 기업문화가 조금 충격적이었습니다.
요즘시대에도 이런 기업이 있나라는 생각이 들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일단 성장중인 기업이고, 나름의 경쟁력(비디오 커머스 등등)이 있기 때문에
현재의 이커머스 시장에서 살아남기는 가능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핵심은 노사 갈등을 어떻게 벗어나는지가 될 것 같습니다.
'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호라, 클럭, 몽제의 기업 에코마케팅 기업분석 (0) | 2020.08.08 |
---|---|
KCC 기업분석 (0) | 2020.05.30 |
소프트뱅크 기업분석과 알리바바 매각 (0) | 2020.05.19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