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의 핵심 기업 CJ제일제당 기업 분석
오늘은 CJ의 가장 핵심 가치이자 핵심 회사라고 할 수 있는 "CJ제일제당"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 추천 주 중에 하나인 식품주의 대장 주라고 불리는 제일제당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제일제당 주식 매수를 고민하는 분들과 제일제당을 준비하는 취준생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고 작성합니다.
CJ제일제당의 제품은?
그 중에서 가장 우리에게 익숙한 제일제당 식품사업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제일제당의 상품은 정말 다양합니다.
우리가 아는 비비고에서 시작해서 고매(함박스테이크로 잘 알려짐),
백설(사실상 제일제당 역사의 시작),
햇반(즉석밥 대장), 해찬들(다시다 씹어먹음), 스펨(부대찌개 최고) 등등
수 많은 대표 식품 브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각이 워낙 굵직해서 사실상 망할 수 없는 기업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다음은 우리에게 조금은 낯설 수 있는 바이오 사업부입니다.
바이오 사업부는 식품용 아미노산, 조미소재, 식물성 고단백, 미생물을 개발하는 부서입니다.
쉽게 말해서 미래 식품 중 하나인 배양육이나, MSG와 같은 조미료, 그리고 영양을 추가할 수 있는 첨가물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부서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우리는 잘 몰랐겠지만 바이오 사업부는 생물지원 사업부와 함께 식품 사업부의 적자를 매꾸는 효자 부서입니다.
아래 제무제표에서 보시겠지만 대표 캐시카우라는 뜻입니다.
말 나온 김에 바로 생물 지원 사업부로 넘어가 볼까요
생물 지원 사업부는 쉽게말해서 동물 사료를 생산하고 개발하는 부서입니다.
식품 사업을 하는 회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아무래도 식품을 만들 수 있는 고기과 원 자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시작한 사업 같은데 사실상 사료 업계의 탑클래스를 달리고 있습니다.
심지어 수출까지 하는 아주 효자 부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일제당의 고객과 수출국
제일제당 재무제표
사실 제일제당의 가장 효자 중 하나는
여하튼 그래서 제일제당의 제무제표를 판단할 때는 대한통운의 실적이 반영되지 않은 지표를 보셔야합니다.
표에 그림이 잘 안보이실 테니 영업이익률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매출액 중에 영업이익의 비율인 영업이익률은
16년 에서부터 19년까지 4개년을 살펴보시겠습니다.
-15.9% (16년) / -19.7%(17년)/ -14.3%(18년) / 65.2%(19-4)
놀랍지 않나요? 처음 흑자를 기록한 것은 둘재치고 그 상승률이 미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각 년도별로 사건이 몇 있었는데요 핵심 이슈를 살펴보겠습니다.
17년도에 일단 원재료 투입가격의 상승 으로 인해서 사료 및 축산 부분의 판매가 부진으로 영업이익이 바닥이었습니다.
18년도에는 바이오 사업 핵심 제품인 사료용 아미노산의 판매가 확대 됐고 브라질의 업체를 인수해서 사업이 안정화
돼면서 실적 개선을 이뤘습니다. 또한 대망의 HRM(가정간편식)과 주력 제품의 호제가 이어져서 실적이 올라갔습니다.
그리고 글로벌 식품 사업이 드디어 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했죠
19년에는 한국콜마에 CJ핼스케어를 매각했습니다. 이유는 슈완스를 인수할 돈이 부족했기 때문이죠
그래서 너무 높은 상승률의 원인은 단순히 CJ핼스케어가 엄청 잘나가는 사업이었기 때문에
일회성 회복이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슈완스의 엄청난 매출이 수익성을 견인했다는 면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지요
식품 업계의 경쟁자들
제일제당의 차별화 전략
1. 기술력을 통한 상온 간편식의 품질과 맛의 상승
2. 중장기적 미국 가공 식품 사업 성과와 사료 첨가제 시활 회복에 따른 추가적인 상승
3. 건강 편의 식품 가공기기술을 통한 한식발표기술, 미래 식량자원 개발, 식품 소재 개발
4. 미국 냉동시장의 독점전략 + 글로벌 만두시장의선점
5. 즉석밥 점유율 70%인 햇반(2위는 오뚜기밥)
제일 제당의 미래
최종 정리
제일제당의 강점
제일제당 약점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 눌러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제일제당의 경쟁력인 HMR 정보도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기업 분석] - CJ제일제당 주식을 사는 이유 1 HMR 대장주
내수 시장을 악화 시킨 출산율 관련 글도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경제] - 출산율 0.69를 넘어선 올해 출산율은 예측조차 되지 않는다.
'기업 분석 > CJ제일제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일제당 2분기 실적 발표 일정 (0) | 2020.08.06 |
---|---|
제일제당 52주 신고가, 흔들리는 중국의 영향은? (0) | 2020.07.14 |
CJ제일제당 사업부별 해외 실적 정리 (0) | 2020.07.06 |
CJ제일제당 주식을 사는 이유 1 - HMR 2 (0) | 2020.06.15 |
CJ제일제당 주식을 사는 이유 1 - HMR 대장주 (0) | 2020.06.14 |
최근댓글